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우리말 바루기] ‘한참때’, ‘한창때’

과거를 회상하며 자신의 전성기를 이야기할 때 자주 등장하는 말이 있다. “내가 (한참때/ 한창때)는 한 번도 1등을 놓친 적이 없다” “나도 (한참때/ 한창때)는 어마어마하게 잘나갔다” 등과 같은 표현이다. 그렇다면 괄호 안에는 어떤 단어가 적절한 말일까?   ‘한참’과 ‘한창’은 각각 의미가 다른 단어이므로 문맥에 따라 정확한 것을 골라 사용해야 한다.   ‘한참’은 ‘시간이 상당히 지나는 동안, 오랫동안, 한동안’이란 뜻을 가지고 있다. “너를 한참 동안 기다렸다” “강물을 한참이나 바라보았다” 한참 뒤에 도착했다“ 등과 같이 쓰인다.   ‘한창’은 어떤 일이 가장 활기 있고 왕성하게 일어나는 때 또는 어떤 상태가 무르익은 때를 뜻한다. ”남해에는 벌써 봄이 한창이다“처럼 사용할 수 있다. ‘한참’은 시간의 흐름에, ‘한창’은 특정한 시기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서두의 예문에서는 두 문장 모두 기운이나 의욕이 가장 왕성하고 활발한 때를 뜻하므로 ‘한참때’가 아니라 ‘한창때’가 맞는 말이다.   기운이 한창인 젊은 나이를 표현할 때도 ”한참나이에 놀기만 해서야 되겠느냐“에서와 같이 ‘한참나이’라고 쓰는 경우를 볼 수 있으나 이 역시 ‘한창나이’가 바른말이다.   ‘한창때’는 ‘한창’과 ‘때’, ‘한창나이’는 ‘한창’과 ‘나이’가 만나 이루어진 합성어다. 우리말 바루기 한참때 한창때 문장 모두

2024-04-11

[우리말 바루기] ‘한참때’, ‘한창때’

과거를 회상하며 자신의 전성기를 이야기할 때 자주 등장하는 말이 있다. “내가 (한참때/ 한창때)는 한 번도 1등을 놓친 적이 없다” “나도 (한참때/ 한창때)는 어마어마하게 잘나갔다” 등과 같은 표현이다. 그렇다면 괄호 안에는 어떤 단어가 적절한 말일까?   기운이나 의욕이 가장 왕성한 때를 가리키는 경우 이처럼 ‘한참때’나 ‘한창때’ 어느 것이 맞는지 헷갈리기 십상이다. ‘한참’과 ‘한창’은 각각 의미가 다른 단어이므로 문맥에 따라 정확한 것을 골라 사용해야 한다.   ‘한참’은 ‘시간이 상당히 지나는 동안, 오랫동안, 한동안’이란 뜻을 가지고 있다. “너를 한참 동안 기다렸다” “강물을 한참이나 바라보았다” “한참 뒤에 도착했다” 등과 같이 쓰인다.   ‘한창’은 어떤 일이 가장 활기 있고 왕성하게 일어나는 때 또는 어떤 상태가 무르익은 때를 뜻한다. ‘한참’은 시간의 흐름에, ‘한창’은 특정한 시기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서두의 예문에서는 두 문장 모두 기운이나 의욕이 가장 왕성하고 활발한 때를 뜻하므로 ‘한참때’가 아니라 ‘한창때’가 맞는 말이다.   기운이 한창인 젊은 나이를 표현할 때도 “한참나이에 놀기만 해서야 되겠느냐”에서와 같이 ‘한참나이’라고 쓰는 경우를 볼 수 있으나 이 역시 ‘한창나이’가 바른말이다.우리말 바루기 한참때 한창때 문장 모두

2023-04-14

[우리말 바루기] ‘한참때’, ‘한창때’

과거를 회상하며 자신의 전성기를 이야기할 때 자주 등장하는 말이 있다. “내가 (한참때/ 한창때)는 한 번도 1등을 놓친 적이 없다” “나도 (한참때/ 한창때)는 어마어마하게 잘나갔다” 등과 같은 표현이다. 그렇다면 괄호 안에는 어떤 단어가 적절한 말일까?   기운이나 의욕이 가장 왕성한 때를 가리키는 경우 이처럼 ‘한참때’나 ‘한창때’ 어느 것이 맞는지 헷갈리기 십상이다. ‘한참’과 ‘한창’은 각각 의미가 다른 단어이므로 문맥에 따라 정확한 것을 골라 사용해야 한다.   ‘한참’은 ‘시간이 상당히 지나는 동안, 오랫동안, 한동안’이란 뜻을 가지고 있다. “너를 한참 동안 기다렸다” “강물을 한참이나 바라보았다” 한참 뒤에 도착했다“ 등과 같이 쓰인다.   ‘한창’은 어떤 일이 가장 활기 있고 왕성하게 일어나는 때 또는 어떤 상태가 무르익은 때를 뜻한다. ‘한참’은 시간의 흐름에, ‘한창’은 특정한 시기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서두의 예문에서는 두 문장 모두 기운이나 의욕이 가장 왕성하고 활발한 때를 뜻하므로 ‘한참때’가 아니라 ‘한창때’가 맞는 말이다.   기운이 한창인 젊은 나이를 표현할 때도 “한참나이에 놀기만 해서야 되겠느냐”에서와 같이 ‘한참나이’라고 쓰는 경우를 볼 수 있으나 이 역시 ‘한창나이’가 바른말이다.우리말 바루기 한참때 한창때 문장 모두

2022-11-14

[열린 광장] 진실의 종아 울려라

 “어젯밤에 눈이 왔어”라는 문장과 “어젯밤에 눈이 오더라”라는 문장의 차이는 무엇일까. 두 문장 모두 어떤 사실에 관해 서술하고 있어도, “눈이 왔어”는 직접 경험하지 않은 일에도 쓸 수 있지만, “눈이 오더라”는 경험한 사실에만 쓸 수 있다는 차이가 있다.   또한 “어젯밤에 눈이 왔대”가 되면 다른 사람의 얻은 정보를 통해 알게 된 사실이라는 내용이 함축돼 있으며, “어젯밤에 눈이 왔나 봐”는 간접적인 단서를 통해 추론한 정보라는 사실이 들어 있다.   이처럼 우리말은 정보의 출처와 습득 방식을 문장의 끝에 전달한다는 특징이 있다.   몇 달째 정치의 시절이 계속되고 있다. 출처를 알 수 없는 소문이 사실처럼 퍼지고, 확인되지 않은 사실이 진실인 양 받들어진다. 자신만의 의견(opinion)을 가질 수는 있겠지만, 자신만이 사실(facts)을 가질 권리가 있는 것은 아닐 텐데, 자신의 의견만이 사실이고 진실인 것처럼 다른 의견을 묵살하고 부인하고 단죄하기까지 한다.   처음 등장했을 때 무척 낯설었던 ‘탈진실(脫眞實, Post-Truth)의 시대’가 도래했다. ‘탈진실’이란 “공중의 의견을 형성하는 데 객관적 사실이나 진실보다는 주관적 신념과 개인적 감정에 호소하는 것이 더 큰 영향을 끼치는 것”을 의미한다.     자신의 견해에 도움이 되는 정보만 그것의 사실 여부를 떠나 선택적으로 취하고, 자신이 믿고 싶지 않은 정보는 외면하는 시대가 된 것이다.   그리스 철학은 아무것도 알지 못하면서 스스로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 위험하다고 경고했다. 모르는 사람이 있다면 가르치면 되지만, 오히려 심각한 문제는 이미 진리를 알고 있다고 믿는 태도라는 것이다.     “너 자신을 알라”는 말은 “네가 너 자신을 얼마나 알고 얼마나 모르고 있는지를 알아라”는 뜻이라고 한다. 그래야만 진정한 앎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스도교에서도 “너희는 말할 때 ‘예’ 할 것은 ‘예’ 하고, ‘아니요’ 할 것은 ‘아니요’라고만 하여라”고 말하며, 논어에서는 “아는 것을 안다고 하고, 알지 못하는 것을 알지 못한다고 하는 것, 이것이 참으로 아는 것이다”(知之爲知之, 不知爲不知, 是知也)고 가르친다.   진실은 언제나 누구에게나 중요하다. 어디서 나온 것인지 어떻게 습득된 정보인지 꼼꼼하게 따져보는 일이 밑바탕이 되어야 하는 이유다. 연규동 / 경성대 한국한자연구소 교수열린 광장 진실 탈진실 post 문장 모두 습득 방식

2022-01-16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